08. 카를 구스타프 융-2

    4월 18일, 융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아동 히스테리는 성인에게 해당하는 내용과는 별개로 다루어야 합니다. 성인 히스테리에 대한 진술에서는 사춘기가 커다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아동 히스테리만을 위하여 특별히 수정된 진술이 고안되어야 합니다." 주의 깊은 독자라면 이 논의가 근본적 문제에 닿아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을 것이다. 융이 여기서 제기한 반론은 1992년, 변형된 내용으로 (성인을 분석하는) 정신분석가 몇 명이 여전히 주장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오늘날까지도, 프로이트의 이론인 사후 현상이란 개념을 사춘기에 위치시킴으로써 아동 신경증의 구조화나 그 정신분석적 치료 가능성을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 융에게 프로이트는 즉시, 매우 정확한 대답을 해준다. 바로 다음 날 그가 쓴 서한을 보자. 



    "아동 히스테리에 대한 문장은 그 부정확성 때문에 충격적입니다. 아동과 성인에게 그 관계는 동일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면 각 성장 과정에서의 리비도의 자극은 사춘기 때 리비도의 자극과 같은 조건( 리비도가 진행됨에 따라 일어나는 각각의 충동을 말합니다)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러한 점을 간과했기 때문에 이후 아동 정신분석학에 대한 논쟁이 오랫동안 진전을 보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연이은 4월 19일의 편지를 계속 인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프로이트는 장중하게 융을 용서하고 있다. "내가 지난 15년 동안 경험한 것처럼, 당신도 같은 경험을 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네 줄 아래에, 더욱더 잘 알려진 선언이자 존스가 인용하기도 한 대목이 있다. "나의 개념(그것은 개념이라기보다는 시각입니다)이 맞기는 하되 제한된 몇몇 경우에만 타당하다고 추정하니, 원칙적으로 거부감을 느낍니다. 그런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어느 경우에나 다 들어맞든가, 아니면 전혀 맞지 않는가..." 자신의 이론이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음을 변호하려고 프로이트는 모든 열성(이 단어는 그가 사용한 것이다)을 다한다. 아동의 심리에 대하여 말할 때 성인의 심리와는 다르다고 보는 견해에 프로이트는 반대하는 것이다.



    1년 반 후인 1909년 11월 17일, 빈 정신분석학회에서 프로이트는 이 주제를 재차 강조한다. E. 존스는 이 내용을 II 권의 부록에 싣는다. (467쪽, 베르만 번역)



    "아동의 히스테리 이면에는 과거 기억의 재현이 전혀 없다고 융은 반박했다. 그러나 그는 두 가지 사실을 놓치고 있다. 6세에서 8세 사이에 발생하는 아동 히스테리에서, 과거의 일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결정적인 인상들은 2세에서 4세 사이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과거 기억의 재현 이후의 시기는 매우 짧지만, 그 대신 변화가 많다. 인생의 이 시기에서 변화는 상당히 빠르다." 프로이트가 드는 두 번째 사실은, '기관 器官이 받은 억압'이다. 프로이트는 여기서 '두뇌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명의 산물을 말한다. 즉 인간의 직립 자세 때문에 특히 후각이 억압된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아이는 성장함에 따라 지상에서 멀어진다. 프로이트는 덧붙인다. "이 [기관 器官 상의] 억압 때문에 가장 어린 나이부터 히스테리가 나타날 수 있다. 심지어는 동물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런 기록에 이어 프로이트는 신경증의 최초 근원이 무엇인지를 증명하며 이후 신생아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찰의 근간이 될 내용을 그리고 있다. "아동은 출생 시부터 불안이란 경험을 한다. 불안에 관해서는 바로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마땅하다. 모든 정동 情動은 원초적으로, 히스테리 발작의 형태로 발현된다는 사실도 기억해 두자. 그것은 어떤 사건이 기억으로 떠오르는 것에 불과하다. 소아과 의사는 그러므로 정동의 근원이 무엇인지 밝힐 수 있어야 한다. 아동 대부분은 정신적 외상을 겪었다. 이후 그 아동들은 히스테리 환자처럼 행동한다. 나는 젖떼기를, 영양 섭취에 관련된 욕망을 교란하는 중요한 정신적 외상으로 고려한다... 젖떼기를 경험한 아동들은, 예컨대 모유에 대해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 아동 연구의 기법은 전망이 그리 제한되어 있지는 않다. 똑똑한 보모를 채용하여(어머니 자신이 그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아이를 계속 관찰하게 하고 정신병자를 간접적으로 관찰하듯, 모든 중요한 사실을 기록하도록 해야 한다. 아동기에 관한 연구는 당분간 성인을 관찰해 얻은 사실이 주도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전혀 이상적인 일이 아니다."



    1909년 1월 19일, 이번에는 융이 신생아 관찰에 관심 갖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기의 수축 현상'은 빠는 기관과 관계가 있으며 최초로 '적극적 모방을 시도'하는 -즉 반짝이는 물건을 보거나 입을 열거나 혀를 차는 움직임 등의 시도- 시기 이전에 발생하는 것 같다고 융은 적고 있다. 이 관찰을 프로이트는 그리 대단하게 여기는 것 같지 않다. 주지하다시피, 이런 계통의 연구는 르네 스피츠와 이후 에스더에게 와서야 이루어진다. 이것은 너무 일찍 개화한 바람에 그 후속 연구가 없었던 분야에 해당한다.



    반면, 같은 날 그는 자기 딸인, 4살 된 아가틀리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나는 여기서 길더라도 이에 대한 기록 전문을 싣고자 한다. 왜냐면 이 부분은 역사적으로 흥미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이트가 왜 그 정통성을 완전히 인정하기를 주저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네 살 된 아가틀리가 어떤 기여를 했는지 알아보는 시간은 다음 게시물에 올리도록 하겠다.

     

     

    'awake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카를 구스타프 융-4  (0) 2023.01.11
    09. 카를 구스타프 융-3  (0) 2023.01.10
    07. 카를 구스타프 융-1  (0) 2023.01.09
    06. 지그문트 프로이트-6  (0) 2023.01.09
    05. 지그문트 프로이트-5  (0) 2023.01.09

    댓글